뉴스 및 정보/어플리케이션

암호 관리 어플 소개(현대인들의 필수 앱)

울트라179 2021. 2. 18. 14:51
반응형

현대인들이 외우고 있는 아이디 암호는 몇개나 될까??
아마도 외우고 있는 전화번호보다는 더 많을 것이다.

과거 인터넷 초창기만해도 주요 포탈사이트(네이버,다음)등 메일을 보내기 위한 몇개의 계정만 기억해도 됐지만,
요즘은 메일,쇼핑,sns,미디어 등 여러 종류의 계정이 필요하다.

갈 수록 높아지는 스마트폰 의존도

 

 

 

 

(도대체 비번 뭔데..)



스마트폰의 의존도가 높아진 지금, 현대인들은 무언가를 외우는데 굉장히 취약하다.

그 취약함을 또 스마트폰으로 해결하는데, 도움을 주는 앱들이 몇가지 있다.

 

 

1passwords

 

 

Enpass

 

 

LastPass

 

 

각종 암호 관리 앱들


현재 암호 관리앱 LastPass, 1password, keeper, Dashlane, enpass, 삼성패스 등등 여러가지 앱들이 많은데, 

이런 목적이 뚜렷한 앱들은 갖고있는 기능은 거의 비슷할 수밖에 없다.
보다보면 어떤 암호 관리 앱을 써야할지 선택장애가 오는데,

 

그래도 우리가 따져 봐야할 몇가지 필수 조건들은
첫번째는 보완성으로 가장 중요하면서 기본이 되는 사항이고,
두번째는기능성으로 앱에서 제공하는 기능들이다.
마지막으로 세번째는 가격으로 무료인지? 유료라면 어떤 특장점이 있는지가 되겠다. 

 

이쪽 세계(?)에서는 기능이 비슷비슷해서 특정 앱을 꼭 써야만 하는건 아니며,

특정앱에만 있는 필살 기능같은 것도 딱히 없다.

 

그래도 암호 관리앱 중에 내가 써본 것들을 요약정리 해보면,

 

 

Samsung Pass


1. 삼성패스(Samsungpass)

 

위에 나열한 비밀번호 관리앱들과는 좀 다르다.
최초 설정만 해놓으면 별도의 어플을 실행할 필요없이,
웹사이트에서 아이디 비밀번호 입력을 생체 인증으로 대신하는 것이다.
또한, 웹사이트 뿐만아니라 일부 은행 어플에서도 사용 가능.
삼성녹스 보안으로 특별한 보안이슈 또한 없었다.

장점 1. 별도의 앱을 켜서 확인할 필요 없이 로그인 할때 저절로 작동.
      2. 생체인식(지문,홍채,얼굴)으로 간편하게 사용.
      3. 보안성.
      4. 무료.
  
단점 1. 삼성핸드폰에서만 사용가능.

 요약: 삼성폰이라면 무조건 사용해야 하는 꿀 기능.

 

 

 

 

 

 

Lastpass


2. 라스트패스(LastPass)

깔끔한 디자인, 다른 비밀번호 관리앱에서 유료로 제공하는 기능까지도 대부분 무료로 쓸 수 있다. 
모든 장치 숫자 제한 없이 접근, 동기화 가능하고(pc,mobile) OS도 가리지 않는다(mac,win)
암호를 복잡하게(ex: s4!c%#g&$^) 생성해 주는 기능이 있고, 그대로 lasspass에 저장해 놓으면 
웹사이트에서 Lastpass가 대신 암호를 입력해 주므로 편리하고 간편하게 보완성을 올릴 수 있다.
아이디, 비밀번호는 LastPass서버에 저장되는데
이는 어떤 기기(모바일, PC)에서도 내 정보를 불러 올 수 있고, 
내 기기가 초기화, 새폰으로 교체 하더라도 내 정보를 불러 올 수 있는 편의성이 있지만,
LastPass 서버가 해킹당하면 모두가 다 털릴 수 있다는 우려가 있다.
게다가 보안이슈가 한번 있었다.(비밀번호는 암호화 돼서 유출되진 않았다고 함)
또한 서버에 저장하고 읽다보니 약간 버벅이는게 있다. 

 

 

Last pass 무료정책 바뀌는점(21.03.16.예정) 

아직까지는 기기를 무제한으로 사용할 수 있지만,
올 3월에 장치제한이 생긴다

(PC만 여러대 쓰거나, 모바일만 여러대 쓰거나 하는 거는 무료이지만 PC, 모바일을 혼용해서 쓰는건 유료가 된다고 함.)

PC + 스마트폰 => 유료  /  스마트폰 + 테블릿 => 무료

 

 

Lastpass 가격표, 무료로 거의 모든 기능을 사용 가능함

 

 


장점 1. 무료버전도 거의 모든 기능을 사용할 수 있음.
      2. 거의 모든 플랫폼을 문제 없이 지원(윈도우,mac,안드로이드,리눅스,크롬,파이어폭스,사파리 등)
      3. 무료버전도 장치 숫자 제한 없음(21년 6월까지만)
      4. 서버에 저장되어 언제나, 어디서나 동기화 가능.
      5. 깔끔한 디자인.
      6. 생체인증 지원.

단점 1. 로컬저장이 안되므로 인터넷 연결이 되어 있어야 함.
       2. 빠릿빠릿하지 않음.
       3. 자주 바뀌는 요금정책(매년 상승).
 
 요약: 무료이면서 모바일로 가볍게 쓸 사람들에게 추천함.

 

 

 

 

1Password


3. 1Password

2008년에 출시되어 암호 관리 앱중에 가장 인지도가 높은 전통의 강자
윈도우와 맥에서 비밀번호 자동완성 기능을 불러올수 있는 단축키 기능도 있고, 
비밀번호가 취약한 것들과 변경한지 오래된 것들을 유저에게 알려준다.
특정사이트에서 일회용 QR코드를 통해 2단계 인증으로 보완성을 높일 수 있다.
과거에는 한번 구매하면 땡으로 계속 쓸 수 있었으나, 

현재는 구독 요금제만 가능해서 다른 앱으로 갈아탄 사람들이 많다. 
개인의 경우 1년치 요금 선납시 월 2.99$다.(1년에 36$)
Mac과 Ios에 치중해 있어 윈도우 안드로이드에 대한 업데이트가 늦고 속도도 느리다.

 

 

1Password 가격


장점 1. 보안이슈 없음.
      2. 다양한 기능들.
      3. 빠릿빠릿 함.
      4. 깔끔한 디자인.

단점 1. 구독형만 가능한 유료이면서 부담스러운 가격(매년 36$는 좀..)
      2. 윈도우와 안드로이드는 업데이트가 비교적 느리고, 구동속도도 느림.

 요약: 비용상관없이 Mac과 아이폰으로 완성도 높은 기능을 원하는 사람에게 추천함.  

 

 

 

 

 

 

Enpass


4. Enpass

 

가격은 평생 사용할 수 있는 97,422원 또는 구독형 결제 연간 29,233원으로 둘 중 하나 선택할 수 있다.
무료로도 사용 가능하긴 한데 모바일에서 20개의 항목으로 제한된다(사실상 체험판이자 유료)

Enpass 가격

 

 

보완성을 자랑하는데, 256비트 AES로 완전히 암호화 시켜, 이것을 해킹하려면 슈퍼컴퓨터로도 수만년이 걸린다고 한다.
비밀번호는 서버가 아닌 개인 클라우드(구글드라이브, 아이클라우드, 원드라이브, 드롭박스 등)에 동기화 시킬 수 있으며,  보편적으로 쓰이는 클라우드 들이기때문에 이용이 간편하고 별도의 비용도 들지 않는다. 

장점 1. 결제방식 선택 가능.
      2. 보안 이슈 없음.
      3. 준수한 기능.
      
단점 1. 사실상 유료.

       2. 회사 규모가 영세?()하여, 서비스 지속성에 대한 우려.

 

 요약: 적당한 가격으로 무난하게 사용가능함.

 

 

 

끝으로...

 

나는 현재 LastPass를 무료로 쓰고 있는데,, 3월에 무료 정책이 바뀐다고 하니 배를 갈아타야 하나 고민된다.

비밀번호 관리 앱의 결제 형태가 평생 사용 가능한 한번 결제에서 매달 결제하는 구독형으로 바뀌는 추세인데,
둘중 하나 선택하라면 구독형이 나은 것 같다. 
그 이유는 이런 어플 만드는 회사들이 대부분 스타트업, 신생 회사들이 많다.
수익이 나지 않으면 고꾸라지는 회사들이 많았고, 이는 필연적으로 지속적인 앱 관리와는 멀어지게 된다.
예전에 msecure 구매 했더니 지금 msecure5까지 나오고 기존버전은 팽처리됐었다.

수년째 업데이트가 안돼도 꾸역꾸역 썻었는데, 결국 기기랑 해상도가 안맞는 지경에 이르러 버렸다.
마이크로소프트나 애플, 구글같이 초대기업이 운용하지 않는 이상은 구독형이 더 안전한 선택인 것 같다.

*계속 알아보고 업데이트 할 예정

반응형